반듯이는 반듯하다에서 파생된 말입니다. 반듯하게라는 말은 '똑바르게'라는 뜻입니다. 이에 비해 반드시는 '꼭' 이라는 의미를 같습니다. 문맥에 따라 두 단어는 반드시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그럼 자세를 반듯이 하고 구체적으로 알아봅시다. 반듯이와 반드시 발음소리는 같지만 표기는 다른 형태입니다. 단어의 뜻이 서로 다릅니다. '반드시'는 '꼭'이라는 뜻이고, '반듯이'는 '반듯하게, 똑바르게'의 뜻입니다. 우리말 퀴즈 3문제 도전 아래 문장중에 알맞은 단어를 골라 쓰세요. 이 규정을 (반듯이, 반드시) 지켜라. 자세를 (반듯이, 반드시) 해라. 막대기를 (반듯이, 반드시) 세워라. 혹시 1번과 2번은 쉬웠는데 3번은 어려웠나요? 해답에 대한 힌트는 아래 기사를 참고하세요. 윤석열측, '반듯이' 논란에 ..
웅튜브에 공개된 임영광 시리즈 보셨나요? 정말 재미있습니다. 어떤 컨셉인지 어리둥절하면서 보다 보면 푹 빠집니다. 인생 극장식 내레이션으로 진행되는 임영광의 대학시절 이야기, 코믹과 센스가 넘칩니다. 임영광 대학 수석입학 하다 임영광은 임영웅의 부캐로 임영웅의 대변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인칭 시점과 전지적 작가의 내레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어 마치 인생극장을 보는 듯한 느낌입니다. 입학 후 장기자랑을 하게 되다 약간 허세 있는 임영광은 자기가 수석 입학해서 장기자랑을 준비해야 한다고 들뜬 마음을 숨기지 않습니다. 옷도 사고, 춤도 연습하는 와중에 오티가 취소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의기소침해진 임영광, ㅎㅎㅎ 어찌 연기를 이렇게 잘하는지, 재미있게 봤네요. 피리를 부는 잔망스러운 손을 보세요. 정말 웃기지 않..
오늘따라 왠지 라면을 먹고 싶네요. 왠지? 웬지? 어떤 말이 맞는 것일까요? 헷갈리기 쉽고 문자나 카톡으로 틀린 우리말을 보낼 때 다른 사람에게 무식하다는 소리 들어서는 안 되겠지요? 왠지 = 왜인지 왠지는 왜인지의 약자로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왠지라고 사용하면 됩니다. ‘왠지’의 의미로 ‘웬지’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왠지’만 표준어로 삼는다고 합니다. 웬지는 틀린 말 따라서 웬지는 틀린 말입니다. 왠지와 병행해서 사용하거나 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웬'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언제 웬을 사용할까요? '어찌 된' 일이냐고 물을 때 '웬일인가?'와 같이 씁니다. 물가가 오르는 것이 '어찌 된' 일이냐? 물가가 오르는 것이 '웬' 일이냐? 오늘따라 왜 인지 스파게티보다 라면이 먹고 싶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페이코인 앱을 설치하고 회원 가입하면 바로 2,600원 벌고, 편의점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대로 따라만 하면 지금 당장 편의점 가서 이딸라 도시락 2,200원짜리 먹을 수 있습니다. 페이코인 앱 설치 바로가기 배고프니 빨리 페이코인 앱부터 설치해 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페이코인 앱을 설치하고 회원 가입시 리워드코드: 5ODMQ6U 를 입력하면 2개의 코인을 줍니다. 이 페이코인으로 편의점 가서 원하는 거 사 먹으면 됩니다. 그런데 페이코인 하나가 얼마냐구요? 시세를 보니 1,340원 정도 하네요. 그럼 2개면 2,600원이니 이딸라 도시락은 충분하게 사 먹을 수 있겠습니다. 이딸라 도시락 라면하고 먹으면 맛있다고 하더라구요. 자 페이코인 앱부터 다운로드 하러 가..
드디어 위드 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이루어집니다. 당장 11월 1일 월요일부터 적용되는 위드 코로나 시대의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봅시다. 대표적으로 잘 못 알고 있는 것이 백신 미접종자는 제외된다는 것인데 백신 접종 여부와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수도권 10명, 비수도권 12명까지 사적 모임 가능 당장 다음 주 월요일부터 수도권 10명·비수도권 12명까지 사적 모임 인원 제한이 완화됩니다. 그동안 낮엔 4명, 밤엔 2명만 모일 수 있었는데 이제 이 부분이 가장 큰 변화가 되겠네요. 그동안 정부 방침에 따른 국민들도 정말 대단합니다. 사실장 지난 '마지막 거리두기' 발표에서 8명까지 늘렸는데 위드 코로나 시기에 10명까지로 정해졌습니다. 비수도권은 12명으로 2명 더 모일 수 있다고 ..
어떤 중요한 사항을 "염두해 두겠습니다"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말은 틀린 말입니다. 카톡이나 문자로 이렇게 틀린 말을 남기게 되면 지적당할 수 있으니 오늘 확실하게 의미를 알아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염두의 뜻 염두라는 것은 생각의 시초라는 의미입니다. 한자로는 염두(念頭) 라고 표기합니다. 생각의 씨앗이라는 뜻인데 쉽게 얘기하면 "마음속"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럼 마음속에 두다가 맞는 말일까요? 마음속해 두다가 맞는 말일까요? 염두가 명사이므로 마음속"에" 두다가 맞는 말이겠지요? 부모님의 말씀을 염두에 두어라 이런 식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염두에 두다 사용 예 꼭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O) 꼭 염두해 두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X)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